이 그림은 그야말로 정신적 위안을 준다.
구도와 배치에서 오는 안정감은 세상 만물의 근원인
불과 물, 흙(땅)과 공기,나무를 소재로 사용해서인지 모르겠다.
아래로는 물이 흐르고 있고 그 옆에 투쟁하는 불이 이글거리고 있다.
이글거리는 불이지만 두렵지 않다. 물이 가까이 있기 때문에 위급한 상황이 오면
불은 언제든 끌 수 있을 것이다.
그 위에 배치 된 나무는 푸른 하늘을 향해 마음껏 자라고 있다.
이 그림에서 나는 프랑스 철학자인 가스통 바슐라르를 떠올렸다.
물과 꿈, 공기와 꿈, 대지 그리고 휴식의 몽상의 시학, 공간의 시학 촛불의 미학을 저작한
가스통 바슐라르는 눈 뜬 상태에서의 꿈꾸기인 몽상을 통해 부재하는 것이 아닌
우리가 감지하지 못하는 것들을 인식하고자 한다. 논리와 체계를 밀쳐내고
전이와 전도를 통해 서로의 마음을 잇는 시적체험을 강조한다.
가스통 바슐라르는 시는 훌륭한 치유제라고 했다. 그것도 체험에 의한 이미지는 생명력이 있다고 했다.
르네 마그리트는 자신이 그린 그림에 제목을 붙일 때 시적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르네도 몽상가임에 틀림 없어 보인다.
그의 그림은 시적 체험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온통 추상적이고 꿈속인듯 난해하지만 오래 집중해서 들여다 보면은 의식과 무의식이 만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시적체험은 꿈과 현실을 서로 연결하여 상호작용을 일으키곤 하는데
르네 마그리트의 그림은 온통 몽상의 바다인 셈이다.
flower-thief20.tistory.com/194?category=804438
르네 마그리트 <생략> 을 읽다
마그리트 그림집을 보다가 피노키오의 코를 가진 사람을 발견했다. 르네 마그리트는 이 그림에 대해 '생략'이라는 제목을 지었다. 무엇에 대해 말하고자 한 것일까? 제대로 달려있지만 보는 기
flower-thief20.tistory.com
flower-thief20.tistory.com/167?category=804438
르네 마그리트 <연인들> 을 읽다
답답한 연인들... 얼굴에 뒤덮인 하얀색 천을 걷어주고 싶다. 불투명한 미래...불투명한 관계, 불투명한 소통, 불투명한 오해와 질투, 뭣하나 분명한 게 없나보다. 서로를 원하나 온전하지 않고
flower-thief20.tistory.com
flower-thief20.tistory.com/132?category=804438
마그리트의 <보상받은 시인>그림 읽기
그림을 보면서 무릎을 딱 쳤다. 그림에 기가막히게 떨어지는 문장이 생각났다. '꽃이 아름다운 이유는 마음속에 꽃이 있기 때문이다' 라고 한 법륜 스님의 말씀이다. <보상받은 시인>의 마음속
flower-thief20.tistory.com
flower-thief20.tistory.com/95?category=804438
르네 마그리트의 <현재>를 읽다
그림 그리는 철학자라는 별명을 가진 르네 마그리트는 그림에 가장 적절한 제목은 시적인 것이다 라고 했다. 시적인 제목은 무엇을 가르치려 하지 않고 우리를 놀라게 하거나 마법에 빠져들게
flower-thief20.tistory.com
flower-thief20.tistory.com/94?category=804438
마그리트의 <치유자>를 읽다
마그리트 그림집을 보다가 문득 <치유자>에서 멈췄다. 마그리트는 벨기에의 초현실주의 화가로서 그의 그림은 불안한 내면과 공포를 표현하는 특징이 있다. 그의 작품 세계는 어머니의 죽음과
flower-thief20.tistory.com
'그림과 사진에 글을 입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유 (12) | 2020.12.04 |
---|---|
12월에 읽는 하이쿠 (18) | 2020.12.03 |
르네 마그리트의 <정신적 위안>을 읽다 (13) | 2020.11.30 |
빈 나뭇가지에 새가 앉았네 (12) | 2020.11.28 |
르네 마그리트 <생략> 을 읽다 (12) | 2020.11.25 |
울릉도 해안 암벽에 난 구멍의 정체는? (7) | 2020.11.21 |
처음 그림을 보고 구도적으로 안정감있는데 어떻게 물과 나무가 함께 있을까?란 생각이 들어 호기심이 들었어요. 제목이 정신적 위안이라니 흥미롭네요.
답글
아..닉네임 좋네요~^^
르네 마그리트는 제목을 붙일 때 시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나봐요,,, 그림과 전혀 안 맞는 제목이 어찌나 많은지..그 연결고리를 찾느라 헤매곤 하죠...ㅡ.ㅡ
르네 마그리트는 자유를 추구한 은유된 작품을 많이 그렸던거 같아요! 상상의 세계로 이끄는 힘이 있죠!
오늘도 좋은 포스팅 잘 보고 갑니다!
답글
맞아요 상상의 세계로 이끄는 힘이 있는 것 같아요..^^ 저도 코코 님의 흥미로운 포스팅 잘 보고 있습니다~^^
왠지 위안이 되는 글과 그림이네요. 저 그림 같은 풍경을 바라보며 따끈한 커피한잔하면 정말 치유가 될것 같아요. ^-^
답글
제목도 정신적 위안이잖아요^^
라즈베리꿈 님도 위안을 얻으셨다니 정말 다행이예요^^
벽돌 건너편의 모습이 어떤지 상상해 봤어요.
답글
원근법도 안 맞고,,,좀 이상하죠?...
제이화 님 글보고 저도 다시 봤어요,,,상상의 나래를 펴고...강 건너에서 만날까요?..ㅎㅎ
그럼 거기서 봬요. ㅎㅎ
비이성적이고 이 합리적인 사고에 대한 정신적 위안인가요? ㅋㅋㅋ 마음데로 해석해 볼수 있는 공간이 있어서 좋네요
답글
르네 마그리트 그림은 진짜 내 맘대로 해석이 가능하지 않나 싶어요^^
비이성적이고 이 합리적인 사고에 대한 정신적 위안인가요? ㅋㅋㅋ 마음데로 해석해 볼수 있는 공간이 있어서 좋네요
답글
책읽는 분들은 참 멋진 분들인 것 같아요.
저도 얼른 책 읽는 사람이 되야될 텐데 .. 힘드네용 ㅎㅎ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