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적 시 읽기의 괴로움 - 사랑과 자유를 찾아가는 유쾌한 사유
강신주 지음 / 동녘 / 2011년 9월
어젯밤, 늦도록 잠이 오지 않아 케이블 체널을 이리저리 돌리다가 <남자의 자격>을 보게 되었다. 시짓기가 과제였다. 김용택 시인이 시평을 맡았고, 멤버들은 일주일이라는 주어진 시간 안에 시를 써서 그것을 낭독하는 시간을 가졌다. 나는 그걸 보면서 시는 모든 사람의 가슴 안에서 숨을 쉬고 있구나... 어떤 마주침, 자신의 삶에서 안팎을 섬광과도 같이 순간에 꿰뚫어 마치 상처와 같은, 어떤 흔적과도 같은, 것을 남기는 모든 것들과의 조우가 바로 시가 아닐까 싶었다. 아버지의 틀니 부딪히는 소리가, 첫사랑의 아련한 그림자가, 어머니의 주름살이, 아들에 대한 오랜 열망이 시가 되어 읽히는 순간 가슴이 먹먹하고 눈시울이 붉어지는 이유는 바로 소통이 아닐까 싶다, 시와의 소통, 시 속에 숨 쉬고 있는 무수한 타자와의 포옹으로 인해 내 아버지가 되고 나의 첫사랑이 되고 내어머니의 주름살이 시로 확장됨을 보았다.
우연치고는 타이밍이 정말 절묘했다. 강신주의 [철학적 시읽기의 괴로움] 읽기를 막 끝내고 본 프로그램이어서 그런지 전경과 배경을 모두를 놓치지 않으려 애쓰며 보았다고나 할까? 아니 여백과 행간을 읽어내려 했던 것이 오히려 맞는 말일 것이다.
철학적 시읽기의 즐거움에서 철학적 시읽기의 괴로움으로 이행하면서 저자는 에필로그에서 아주 중요한 말을 하고 있다.
시는 미래에 읽힐 숙명을 타고난 글입니다. 다른 글들이 지금 읽고 이해되는 경향이 강하다면, 시는 우리 내면을 엄습하여 그 이미지를 각인시킵니다. 그리고 이렇게 상처처럼 남은 시는 아주 끈덕지게 기다립니다. 그 이미지를 다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삶을 살아내기를 말입니다.
마침내 저자는 시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채워야만 하는 빈그릇으로 비유하고 있다.
그렇다면 괴로움으로 다가서는 시들에서 저자는 무엇을 사유했을까, 시는 항상 빨리 찾아들고 나중에 읽힌다고 한 것은 읽혀지는 그 순간 이미 빈그릇들은 채워진 뒤고 어떤 형상만 남아 있을 것이다, 저자는 시(詩)가 읽혀지기까지의 여정속으로 떠나면서 끝내 어느 한 지점에서 삶을 관찰하고 성찰하는 자세를 갖게 된 것은 아닌지 생각되어진다. 시가 비로소 철학과의 조우를 통해서 말이다. 여기서 요구되어지는 것은 집중과 몰입, 그리고 감수성이다! 무슨 글을 읽든 마찬가지일테지만 [철학적 시읽기의 괴로움]은 자신의 삶과 세상을 읽어내려는 수고로움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그야말로 어두움속에서 허우적대다 말일이다. 히스테리와 강박증 사이에서 자본주의와 세속적인 종교 사이에서, 차별과 차이 사이에서,진짜와 가짜 사이에서, 뜨거움과 차가움 사이에서,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의 사이에서, 오감과 육감 사이에서, 명사와 술어 사이에서, 자아와 타자 사이에서, 안과 밖의 사이에서 길을 잃지 않으려면 분명 괴로움이 동반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듯 하다.
그렇다면 시(詩)는 우리에게 무엇인가? 활자로 된 단문의 글이기 전에 詩는 이미 각인이고 흔적이고 이미지고, 사건이고 현상이라 보아진다. 하지만 시가 원래 가졌던 개별성과 고유성은 무수한 타자를 만나면서 새로운 모습을 갖게 됨을 본다, 그래서 강신주와 마주친 詩는 철학이라는 외피에 싸여 좀 더 진중해지고 깊어진 모습을 갖는다.
어느 시인은 시가 내게로 왔다고 했지만 어느날 마주친 시에게 물어봐야 할 것도 있음을 강신주는 알려준다. 그것도 철학 안에서 진지하고도 다정한 목소리로
"내 안에 너 있다. 너 안에 나 있니?"
시의 확장은 이 두 가지가 충족될 때야 비로소 모습을 가진다. 시의 세계와 무엇이 만나든 간에 관계짓고, 의미 확장을 통해 완성되어진다고 보아진다. 그런 측면에서 강신주는 시와 철학을 만나게 한 중매쟁이 역할을 아주 잘 해낸 편이라고 생각되어진다. 극과 극은 통한다는 것을, 엎치락 뒤치락 거리다 서로를 알아보는 경지를 보여주기도 하고, 둘(시와 철학) 사이에 오해가 없도록 서로를 이해시키고 친절하게 보여주고 설명하기까지 한다. 난 그래서 강신주가 좋다. 변죽만 울리다 마는 사람은 신뢰가 가지 않는다. 중심을 향해 끝까지 손을 잡고 함께 가려함이 눈에 보여서 좋다.
가을이다. 시를 받아들이기에 좋은 계절이다. 어쩌면 저벅저벅 가슴 안으로 절로 들어오게 될런지도 모를 일이다. 하지만 강신주가 만난 시들은 차가운 머리의 도움이 조금 필요할 듯 싶다. 느끼기보다는 생각하기를, 성찰하고 조망하기를 바라고 있기 때문이다.
'바람에 날아간 책들...그리고 흔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채, 그 첫 5,000년 - 근대를 넘어서는 해법을 찾아서 (0) | 2020.04.21 |
---|---|
인민의 탄생 - 무화한 몸짓으로 끝나지 않길 바랄 뿐! (0) | 2020.04.21 |
맹신자들 - 대중운동의 다른 이름이 혹시 전체주의? (0) | 2020.04.21 |
아 [a:] - 긴 잠에서 깨어나 삶의 흐름을 바꿔라 (0) | 2020.04.21 |
대칭 - 세상을 읽어내는 코드인'대칭' (0) | 2020.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