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걀 껍질에는 숫자 10자리의 일련 번호가 있다. 그게 무슨 의미인지 오늘 뉴스를 보고 알게 되었다.
산란일, 고유번호, 그리고 마지막 한 자리는 닭을 어떤 환경에서 키웠는지 알 수 있는 사육환경을 나타낸다고 한다.
3번과 4번은 좁은 케이지 안에서 키우는 방식이라고 한다.
특히 사육환경 4번은 A4 용지 한 장보다 작은 공간에서 닭들이 본능적으로 해야 하는 행동을 할 수 없어서
날개가 부러지거나 다리가 부러지거나 다른 닭을 쪼아서 죽이기도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육환경의 96%가 케이지라고 한다. 유통되는 달걀 10개 중 9개는 4번 달걀이라고 하니 놀랍다.
소비자는 이왕이면 싼 가격의 달걀을 원하고 있고 이왕 먹는 거 어떤 환경이든 그게 무슨 문제가 될까 생각할 수도 있다.
글쎄다...
인권의 척도 중 하나가 동물권이다. 피터 싱어는 인간 평등의 토대가 되는 윤리를 동물에게도 적용하여
모든 동물은 평등하다는 이유로 동물해방까지 주장한 철학자다. 인간에 의해 동물이 학대 받거나 고통받는 일을 멈추기 위해 그의 노력은 각별했다. 그 결과 1975년 출간된 그의 책인 <동물해방>은 동물에 대한 태도를 바꾸어 놓았고, 동물들에 대한 잔혹 행위를 금하는 범세계적인 운동을 촉발시키기도 했다.
하지만 우리는 소수의 사람을 제외하고는 윤리적 행동과는 먼 삶을 살고 있다.
어차피 현실인데.... 가축은 이래 죽으나 저래 죽으나 마찬가지인데...그러면 고기 먹지 말라는 말인가?
자본주의 시스템을 누가 바꿀 수 있을까...
우리는 온갖 이유로 합리화를 찾아 그 속으로 숨어들고는 고통받는 동물들은 외면하곤 한다.
사실 동물복지가 별건가?
살아 있는 동안 행복하고 본능대로 움직이고 살아갈 최소한의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게 우리가 할 일인데
그게 그렇게 어려운 일일까?
결국 선택의 문제 앞에서 우리는 눈감고 귀 닫아 버리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소비자로서 무엇을 어디까지 선택할 것인가의 기준은 윤리의 문제이기도 하다.
가령 육식을 끊을 수 없다면 횟수를 줄이는 것도 차선의 선택이 될 수 있다.
아무 생각없이 사는 것도 죄악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오늘 4번 달걀 뉴스를 보고 다시금 깨달았다..
news.v.daum.net/v/20201202204906263
[오늘 이 뉴스] A4보다 좁은 닭장에서..'4번 달걀'의 비밀
[뉴스데스크] ◀ 앵커 ▶ 이어서 오늘 이 뉴스 전해드리겠습니다. 달걀 표면에는 이 달걀이 어떤 환경에서 생산됐는지 나타내는 번호가 표시돼 있는데요. '4번 달걀'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
news.v.daum.net
'일상생활 (온갖 잡다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탄소년단 노래 Life Goes On에 담긴 의미 (26) | 2020.12.12 |
---|---|
가끔 정신나간 상태로 살아가기 (26) | 2020.12.08 |
4번 달걀의 문제, 잘 알고 사야! (13) | 2020.12.02 |
방탄소년단 빌보드 핫100 1위라니? (12) | 2020.12.01 |
역시 먹는 게 최고다! (6) | 2020.11.26 |
같은 장소 다른 느낌 (12) | 2020.11.23 |
A4용지보다 작은곳이라니...충격이 너무 크네요...
그들도 단 하루라도 오래살고자 서로 죽고 죽이다니...
우리 생활에 너무 많이 사용되는 계란이지만...
저도 사실 계란을 고를때 자연에서 자유롭게 크고 자연사육한 계란을 선택하긴 해요.
이런거 보면 정말 숙연해 지네요..ㅠ ㅠ
답글
허걱 앙뚜와네트 글에 답글 달고 나오는데 ...코코 님은 여길 다녀가셨네요...
세상엔 불편한 진실이 너무 많은 거 같아요.,...ㅡ.ㅡ
맞구독님 왔다갑니다~! 10월은 정말 경제적으로 힘들었네요 ㅎ 11월은 잘 마무리 해봅시다! 여유롭게 눌러보다가 가요 ㅎㅎ
답글
네 그래요 낭만토리님~^^
2020년 한 해가 이제 얼마 남지 않았네요,,,잘 마무리 해봅시다!ㅎㅎ
영화 옥자를보면 동물의 삶의 권리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더군요. 인간이 편하겠다고 동물들을 너무 막대하는것 개선되어져야 할부분은 맞는것 같아요. >-<
답글
맞아요,,육식을 하더라도 동물복지는 고려해야할 부분인 거 같아요..
여기도 번호같은거 있나 함 봐야겠어요. 저도 cage free 달걀로 사먹고 있어요.
답글
아..미국도 그런 걸 표시하나보네요...
한국은 케이지달걀이 아닌 건 엄청 비싸긴 하죠...공급을 줄이는 방법은 사지 않는 방법 밖에 없긴해요,,
한국은 번호로 표시를 하는군요.. 여긴 cage free 라고 적여있지 않으면 다 닭장 사육이예요. 그래서 비싸도 왠만하면 cafe free 로 사긴 하는데.. 좀 덜 먹어야 한다는 말에 찔립니다.ㅎㅎ 먹어도 너무 먹어요 ㅜㅜ
답글
맞아요,,, 우리 인간들 먹어도 너무 많이 먹는 거 같아요...우리집도 마찬가지예요..
횟수를 줄이기만 해도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고 하잖아요.,.
완전식품인 달걀을 안먹을 수는 없는데 사육환경이 아쉽긴하네요ㅠ
답글
앗. 달걀이닷 하하.
답글
앗 랑니 님이닷!^^